목록분류 전체보기 (74)
why not
1. HTTP 1-1. HTTP의 특징 1-2. HTTP Headers의 종류와 특징 2. HTTPS

1. 네트워크 계층 모델 1-1. OSI 7계층 모델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라고 하는 국제표준화기구에서 1984년에 제정한 표준 규격 OSI 7계층 모델의 목적 표준화를 통하여 포트, 프로토콜의 호환 문제를 해결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일어나는 일을 해당 계층 모델을 이용해 쉽게 설명할 수 있다. 네트워크 관리자가 문제가 발생 했을 때 문제의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 범위를 좁혀 문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1-1.1)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수행하는 기능에 따라 7개의 계층(레이어)으로 구분하기 1계층 - 물리 계층 - OSI 모델의 맨 밑에 있는 계층 - 시스템 간의 물리적인 연결과 전기 신호를 변환 및 제어하는 계층 - 주로 물리적 ..

1. Architecture Diagram 설계 1-1. 설계에 앞서 준비하기 설계에 LucidChart 툴을 이용 LucidChart 툴을 사용하는 이유? 드래그앤 드랍으로 쉽게 컴포넌트를 설계가 가능하다. 다양한 아이콘을 지원함 1-2. 아키텍처 다이어그램 시작하기 Software Requirement (요구사항 내용) - 그룹 이름을 입력할 수 있는 창을 제공 프론트 엔드 - 시스템은 그룹에 속하는 사람들의 이름을 입력할 수 있는 창을 제공 프론트 엔드 - 각 그룹은 그룹명과 그룹원들의 이름을 담고 있어야 함 데이터에 대한 구조 (데이터 베이스) -> 프론트 엔드로 충분히 구현 가능 --> 데이터 베이스 보류 - 시스템은 내가 사용한 비용을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 창 제공 프론트 엔드 - 시스템은 ..

1. TCP/IP 1-1. 네트워크의 시작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IP 기반의 네트워크인 인터넷 프로토콜은 미 국방성에서 1969년 진행했던 아르파넷(ARPANET) 프로젝트에서 시작 기존에 사용되었던 회선교환 방식이 아닌 패킷교환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구축 1-1.1) 회선교환 방식 패킷교환 방식은 기존에 전화에서 사용했던 회선교환 방식의 단점을 보완한 방식 회선교환 중간에서 발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해주는 오퍼레이터가 존재 다소 비효율적 (즉시성이 떨어짐)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할 전용선을 미리 할당하고 둘을 연결 연결하고 싶은 상대가 다른 상대와 연결중이라면, 상대방은 이미 다른 상대와의 전용선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그 연결이 끊어지고 나서야 상대방과 연결할 수 있다. 특정 회선이 끊어지는..

1. 클래스 다이어그램(Class diargram)이란? 한 시스템을 구성하는 클래스들의 구조를 나타내고 클래스 내의 속성(attribute)이나 메소드(method)를 시각화 한 diagram이다. 클래스의 구조 및 클래스 간의 상호 작용 방법이나 클래스의 구성 방법을 표현하는데에 촛점을 맞춘 structural diagram이다. 클래스는 정적이어서 동적인 객체와 다르다. 정적이라는 것은 시간과 조건이 고려되지 않은 것을 말한다. 클래스 다이어그램에서는 sequence diagram과 다르게 조건이나 순차적인 것들이 들어가지 않는다. 철저하게 클래스가 어떤 의존성을 가지고 있는지 그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다이어그램이다. CreateGroup과 AddMembers 그리고 ExpenseMain이라는 클래..

1. 시퀀스 다이어그램(Sequence Diagram)이란? 객체 간의 상호 작용만으로 보여주는 아키텍처 다이어그램과는 달리, 시퀀스 다이어그램은 객체 간의 상호 작용을 시간 순으로 시각화 해 아키텍처 다이어그램보다 조금 더 구체적이다. behavior diagram: 시스템의 구조에 초점을 맞춘 것이 아니라, 시스템이 어떤 순서로 누구와 상호작용 하는지에 촛점을 맞춘 행동과 관련한 다이어그램 시퀀스 다이어그램 상호 작용 방법 User가 그룹을 생성(group/new)하겠다는 요청을 보내면 Web Client가 활성화 일련의 과정 후에 Web Client가 DutchPay Server에 '그룹을 생성하라'라는 API콜을 보냄 DutchPay Server에서 GUID생성 생성된 GUID와 그룹 이름을 Gr..

1. 아키텍처 다이어그램(Architecture diagram)이란? 시스템의 전체 구조와 시스템 간의 상호 작용 및 의존성을 나타내는 그림 모든 디테일을 다 담고 있는 것이 아니라 아주 추상화된 레벨(high-level)에서 가시화 한 다이어그램 각 시스템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어떤 데이터를 어떻게 다루는지 등의 구체적인 상호작용 내용보다는 전체적인 맥락 관점에서 기술하는 것을 말한다. 2. 아키텍처 다이어 그램을 사용하는 이유? 나무 하나 하나는 모르더라도 전체 숲을 보는데 도움이 된다. 시스템(회사나 소프트웨어)의 규모가 커지면서 한 개발자가 시스템이 어떤 순서로 요청을 처리하는지, 어떤 시스템과 소통을 하는지 파악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코드 만을 보고 시스템의 ..

1. 웹 접근성의 개념?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접근이 제한적인 사람들도 웹 접근성을 갖추면 웹에 접근했을 때, 항상 동등한 수준의 정보를 제공받도록 보장받는 것, 궁극적인 목표는 어떤 사람이든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는 경우가 없도록 하는 것이다. 1-1. 웹 접근성 실태? 웹 접근성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은 우리나라 웹 사이트들의 접근성 수준은 높은 정보화 수준에 비해서는 다소 낮은 편 1-1.1) 접근성이 잘 갖춰지지 않은 웹사이트 예시 ex) 화면의 텍스트를 음성으로 읽어주는 스크린 리더를 사용시, 정보가 텍스트가 아닌 이미지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스크린 리더가 인식할 수 없어 음성으로 읽지 못하는데, 상품의 상세 정보가 이미지로 올라와 있는 쇼핑몰 사이트 1-2. 웹 접근성을 갖추면 얻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