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not

프로젝트 관리1 (2일차) 본문

Today I Learn/환급 챌린지

프로젝트 관리1 (2일차)

novem 2023. 2. 21. 06:53

1)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목적

- 팀이 업무를 체계적으로 계획, 관리하고 수행하여 프로젝트 요구 사항을 충족

- 모든 이해 관계자와 프로젝트의 상태를 원활하게 공유

- 프로젝트 계획, 세부 사항, 파일, 피드백을 한 곳에서 관리

- 팀 효율성 및 협업 개선

 

1-2) 우리는 왜 프로젝트를 관리해야 할까요?

1-2.1) 사이드 프로젝트 진행 측면

- 프로젝트의 원활한 진행과 협업을 위해서 필요하다.

1-2.2) 실무를 해야하는 개발자 측면

- 프로젝트의 흐름을 알고, 관심을 가져야 큰 그림을 볼 수 있다. -> 시야가 좁으면 나중에 리스크가 될 수 있다.

- 지금 프로젝트에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알고 관심을 가져야 본인의 개발 일정도 잘 관리할 수 있다.

- PM, PO과 우선 순위와 일정을 논의하면서 개발자의 의견을 구하는 경우, 대안을 제시하거나 적극적으로 의견을 피력해야 할 경우가 많다.

- 기술적인 챌린지가 주인 프로젝트일 경우, 개발자가 PO의 역할을 대신 하기도 한다.

- 점점 시니어가 되어가면서 팀 내에서 해야 할 프로젝트를 리딩하게 되면, 프로젝트 관리에도 자연스럽게 주축 멤버가 된다.

 

1-3) 개발자로서 잘 해야 할 것

- 프로젝트의 목표와 목적을 이해하려고 노력하기

- 우선 순위 정하기

- 개발 일정을 산출하고 스케줄링 -> 개발자가 산출한 일정을 토대로 제품의 런칭 날짜를 정하는 경우가 많다.

- 타 조직/직군과의 커뮤니케이션 -> 너무 테크니컬한 단어가 아닌 타 직군들도 알아들을 수 있게 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

- 위험 관리

- 문서화(technical writing) -> 기준: 새로운 사람이 왔을 때 내 프로젝트를 잘 이해할 수 있을 정도가 되어야 한다.

 

2) 프로젝트를 잘 관리하기 위한 방법

2-1) 시간에 따른 프로젝트 Steps

2-2) 팀 관리 측면

- 프로젝트의 목표가 명확해야 한다.

- 팀원들과 목표가 같으면 결과물이 좋다.

- 플래닝과 의사결정 시 팀원들 다 같이 참여하는 것이 좋다.

- 팀원이 실수 했을 때, 감정보다는 이성적으로 사고하고 방지를 위한 건설적인 논의를 하는 것이 좋다.

   -->  어떻게 해야 이 일이 재발하지 않을지에 초점을 맞추자

- "왜"를 생각하기

   --> ex) 디자인팀에서 구현이 가능하냐고 물을때, 만약 가능하지 않다면 '안될 것 같은데요'라고 하기보다는 왜 할 수 없는지 생각해보고 공격적이기 않게 소통하자.

 

2-3) 문서화 측면

- 팀에 새로 조인한 사람이 이해할 수 있도록 문서화하기 (뉴비의 관점에서 보도록 노력)

- 충분한 정보를 담아야 한다.

   --> 프로젝트 주제와 목표 / 서비스 요구사항 / feature 리스트 / 시스템 설계 및 스펙 / 일정 / 대시보드 등

- 필요한 정보를 잘 찾을 수 있는가?

   --> 검색 기능 활용 / 비슷한 내용을 여러 문서에 적는 것보다 한 곳에 정리 / Table과  Tag 사용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 필수 삽입 링크 : http://bit.ly/3Y34pE0